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식품과 의약품의 안전을 보장하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식약처의 모든 직원들은 국민이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식약처는 식품,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보장하여 공중 보건을 증진하는 한편, 대한민국의 식품 및 제약 산업을 지원하는 역할도 맡고 있습니다.
국가 : 미국
수입식품검사기관 : FDA (미국 식품의약국)
링크 :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보건복지부 산하 기관입니다. FDA는 사람과 동물용 의약품, 생물학적 제품, 의료기기의 안전성, 효능 및 보안을 보장하고 공중 보건을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가 식품 공급, 화장품, 방사선을 방출하는 제품의 안전성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국가 : 중국
수입식품검사기관 : 중국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AQSIQ)
링크 :
중국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AQSIQ)은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직속의 행정 기관으로, 국가 품질 관리, 계량, 출입국 상품 검사, 출입국 위생 검역, 출입국 동식물 검역, 수출입 식품 안전, 인증 및 인가, 표준화, 행정 법 집행 등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국가 : 베트남
수입식품검사기관 : 베트남 식품청 (VFA)
링크 :
베트남 식품청(VFA)은 보건부 산하의 관리 기관으로, 국내 및 수입 식품의 식품 안전에 대한 국가 관리 업무를 보건부 장관이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VFA는 중앙 부처 간 식품 안전 공동 위원회의 상임 기관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가 : 호주
수입식품검사기관 : 호주 농림수산부 (DAFF)
링크 :
호주 농수산산림부(DAFF)는 호주의 농업, 수산업, 산림 산업의 발전을 위해 존재하는 기관입니다. DAFF는 호주 농업의 이익을 위해 새로운 농산물 수출 기회를 창출하고 기존 기회를 유지하며, 수십억 달러 규모의 농업 산업과 국민의 생활 방식을 보호하기 위해 생물 보안 위험을 관리합니다. 또한 DAFF는 국제 파트너들과 협력하여 글로벌 농업 및 섬유 산업 분야에서 식량 안보, 생산성, 무역, 지속 가능성, 그리고 기후 변화에 대한 호주의 역할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국가 : 뉴질랜드
수입식품검사기관 : 뉴질랜드 1차 산업부 (MPI)
링크 :
뉴질랜드 1차 산업부(MPI)는 1차 산업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산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생산된 식품의 안전을 보장하고, 자원의 지속 가능한 사용을 증가시키고, 생물학적 위험으로부터 뉴질랜드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MPI의 비전은 “뉴질랜드가 세계 최고의 지속 가능한 고부가가치 식품 및 1차 제품의 공급국이 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MPI는 뉴질랜드 식품 및 섬유 부문의 경제적, 환경적 성과를 높이고자 하며, 뉴질랜드의 미래를 위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서비스의 가치를 어떻게 높일지를 제시합니다.
국가 : 대만
수입식품검사기관 : 대만 식약청 (TFDA)
링크 :
대만 식품의약품안전청(TFDA)은 대만 보건복지부 산하 기관으로, 식품, 의약품, 의료 서비스 및 화장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TFDA의 임무와 미래 비전은 국민 건강과 복지를 증진하고 보호하기 위해 식품과 의약품의 품질 및 안전을 보장하고, 식품 및 의약품 안전 관리의 완전하고 포괄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또한 국가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식품 및 의약품 관리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국가 : 태국
수입식품검사기관 : 태국 식품의약품청 (FDA TAHI)
링크 :
태국 식품의약품청(FDA THAI)은 태국 내 식품 및 의약품의 등록, 평가 및 모니터링을 담당하는 국가 규제 기관입니다. FDA THAI의 비전은 소비자 보호와 건강 제품 사업자의 발전을 위한 주요 기관으로서 공공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것입니다.
국가 : 싱가포르
수입식품검사기관 : 싱가포르 식품청 (SFA)
링크 :
싱가포르 식품청(SFA)은 지속 가능 환경부(MSE) 산하의 법정 기관으로, 싱가포르의 식품 안전과 식량 안보를 총괄하는 국가 식품 기관입니다. "모두를 위한 안전한 식품"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있으며, 안전한 식품 공급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SFA는 정부 기관, 기업, 소비자와 긴밀히 협력하여 식품 안전과 안보 위험을 관리하고, 연구개발(R&D)과 혁신을 통해 농식품 부문의 변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국가 : 필리핀
수입식품검사기관 : 필리핀 식품의약품청 (FDA Philippines)
링크 :
필리핀 식품의약품청(FDA Philippines)은 보건부 산하의 건강 규제 기관입니다. FDA Philippines의 사회적 비전은 건강 제품 및 관련 규제에 대한 양질의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는 것이며, 조직의 비전은 품질 높은 건강 제품에 대한 접근을 보장하는 현대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는 효율적인 규제 기관이 되는 것입니다. FDA Philippines의 임무는 건전하고 혁신적인 규제를 통해 일반 대중이 안전하고, 품질이 우수하며, 순수하고 효과적인 건강 제품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입니다.
국가 : 일본
수입식품검사기관 : 후생노동성 (MHLW,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링크 :
후생노동성(MHLW)은 일본 내 식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관리하고 수입식품의 검사와 규제를 담당하는 핵심 기관입니다. 이 기관은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식품위생법을 기반으로 식품의 제조, 유통, 수입 단계에서 위생과 안전을 철저히 감독합니다. 수입식품의 경우, 검역소에서 모니터링 검사 등의 수입식품 검사를 실시하며, 기준에 맞지 않는 제품은 검사 강화 등의 조치가 취해집니다. 일본 국내 소비자를 위한 정보 제공, 리콜 관리 등도 MHLW의 중요한 업무 중 하나입니다.
국가 : 러시아
수입식품검사기관 : 러시아 연방 식품검역청 (Rosselkhoznadzor, Federal Service for Veterinary and Phytosanitary Surveillance)
링크 :
러시아 연방 식품검역청은 러시아 농업부 산하 기관으로, 식품을 포함한 농산물, 동물성 제품, 가공식품의 수입 검역과 위생 검사를 담당합니다. 특히 동물 유래 식품 및 농산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위생 요건, 수입 승인, 통관 검사, 위해 식품 차단 조치 등을 수행합니다. 러시아는 자국의 식품안전 기준에 따라 수입 식품의 등록, 검사, 문서 심사를 엄격히 시행하며, 필요 시 수입 제한 또는 금지 조치를 내리기도 합니다.
국가 : 캐나다
수입식품검사기관 : 캐나다 식품검사청 (CFIA, Canadian Food Inspection Agency)
링크 :
캐나다 식품검사청(CFIA)는 캐나다 보건부(Health Canada)와 협력하여 식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관리하는 주요 기관입니다. 수입식품의 위생, 라벨링, 품질 관리 등 전반적인 식품 안전 업무를 담당하며, 위해 식품의 리콜, 수입금지 조치 등을 집행합니다. 특히 동물성 제품, 농산물, 가공식품 등에 대한 검역과 생물학적 위해 요소에 대한 감시도 포함됩니다. Health Canada는 식품의 위해 평가와 기준 설정 및 새로운 첨가물 승인 등을 담당하며, CFIA는 이를 바탕으로 현장 검사와 규제 집행을 수행합니다. 국민의 식품 안전을 보호하는 동시에 수입업체에 대한 등록 및 승인 제도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국가 : 인도네시아
수입식품검사기관 : 인도네시아 식약청 (BPOM, Badan Pengawas Obat dan Makanan, National Agency of Drug and Food Control)
링크 :
국가식약청(BPOM)은 인도네시아 보건부 산하의 기관으로, 식품, 의약품, 건강보조식품, 전통약, 화장품 등 국민이 소비하는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수입식품의 경우, 사전 등록 절차를 통해 성분, 라벨, 제조기준 등을 심사하며, BPOM의 허가 없이 제품을 유통하는 것은 불법입니다. 또한 BPOM은 위해 식품에 대한 검사, 리콜 조치, 품질 관리, 시장 모니터링 등을 실시합니다. 인도네시아는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식품안전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소비자 교육, 위생 기준 제정, 수입업체 관리 등도 BPOM의 주요 임무입니다.
국가 : 네덜란드
수입식품검사기관 : 네덜란드 식품 및 소비자제품 안전청 (NVWA, Nederlandse Voedsel- en Warenautoriteit, Netherlands Food and Consumer Product Safety Authority)
링크 :
네덜란드 식품 및 소비자제품 안전청(NVWA)는 식품, 동물, 식물 및 소비재의 안전성과 위생, 품질을 관리하는 기관입니다. 이 기관은 수입식품을 포함한 모든 식품의 위생, 성분, 라벨링, 표시사항을 감독하며, 문서 심사 및 실물 검사를 통해 유해 식품의 국내 유통을 방지합니다. NVWA는 리콜, 위해 식품 경고, 시장 감시 등도 수행하며, NVWA는 EU 기준이 국내에서 제대로 실행되도록 현장 단속합니다. 네덜란드 내 소비자 보호와 공중보건 증진을 위한 교육, 정보 제공, 법적 규제 조치도 NVWA의 중요한 업무입니다.
국가 : 홍콩
수입식품검사기관 : 식품안전센터 (CFS, Centre for Food Safety)
링크 :
식품안전센터(CFS)는 홍콩 내 소비자가 섭취하는 식품의 안전과 위생을 보장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식품환경위생국(FEHD) 산하에 운영되고 있습니다. CFS는 수입식품의 안전성 검사, 라벨링 기준, 위해요소 모니터링, 리콜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특히 고위험 식품군에 대해서는 수입 전 위생증명서 제출 및 허가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CFS는 식품의 품질과 안전을 확보하고, 소비자 보호를 위해 시장조사, 공중 보건 대응, 소비자 교육 등을 함께 실시합니다.
국가 : 영국
수입식품검사기관 : 식품기준청 (FSA, Food Standards Agency)
링크 :
식품기준청(FSA)은 영국 내 식품의 안전과 위생, 소비자 보호를 책임지는 독립 정부기관입니다. FSA는 수입식품의 통관 기준 수립, 식품표시 및 라벨링 검사, 위해 식품 회수, 알레르기 유발 물질 정보 제공, 식중독 대응 등의 폭넓은 업무를 수행합니다. 영국은 EU에서 탈퇴한 후 자체 식품 규제 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며, 특히 고위험 식품군에 대해서는 별도의 검사 및 인증 절차가 요구됩니다. FSA는 과학 기반 정책 수립, 현장 점검, 소비자 정보 제공, 식품산업 지원 등을 통해 공중보건을 보호하고 식품 산업의 신뢰성 강화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국가 : 독일
수입식품검사기관 : 연방소비자보호식품안전청 (BVL, Bundesamt für Verbraucherschutz und Lebensmittelsicherheit)
링크 :
연방소비자보호식품안전청(BVL)은 독일 연방농업식품향토부(BMLEH) 산하 기관으로, 수입식품에 대한 공식통제와 안전성 확보를 위한 조정 및 평가 업무를 수행합니다. 식품의 표시, 위해정보 및 회수 관련 사항에 대해 각 주 당국과 협력하며, 전국 식품안전 정보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독일은 EU의 식품안전 규정을 따르며, BVL은 연방위해평가원(BfR) 및 유럽식품안전청(EFSA)과 협력하여 과학적 위해 평가에 기반한 규제 조정 및 관리에 참여합니다. 이를 통해 BVL은 국민의 건강 보호와 소비자 권익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국가 : 말레이시아
수입식품검사기관 : 식품안전품질국 (FSQD, Food Safety and Quality Division)
링크 :
식품안전품질국(FSQD)는 말레이시아 보건부 산하 기관으로, 국내 유통 및 수입식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관리하는 책임을 지고 있습니다. 수입식품은 말레이시아 식품법 1983 및 식품 규정 1985에 따라 사전 검사 및 승인 절차를 거쳐야 하며, 성분, 라벨링, 위생 기준이 엄격히 적용됩니다. FSQD는 식품 샘플 검사, 문서 검토, 현장 검사를 수행하고, 위해 식품에 대해서는 리콜, 수입 금지, 소비자 경고 등의 조치를 취합니다. 소비자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식품안전 인식을 높이고 공공 보건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국가 : 인도
수입식품검사기관 : 인도 식품안전기준청 (FSSAI, Food Safety and Standards Authority of India)
링크 :
인도 식품안전기준청(FSSAI)는 2008년 설립된 인도 중앙정부 산하의 식품안전 규제기관으로, 식품의 제조, 유통, 수입, 판매 전반에 걸쳐 과학 기반의 식품안전 기준을 수립하고 국민 건강 보호를 목표로 합니다. FSSAI는 식품사업자의 등록 및 라이선스를 관리하며, 수입 식품에 대해서는 전자시스템(FICS, FoSCoS)과 공인 검사소를 통해 검사 및 통관 절차를 수행합니다. Codex 등 국제 기준과의 정합성을 고려한 정책도 추진 중이며, 인도 내외에서 유통되는 식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총괄 관리합니다.
준비서류 공통사항 - 자유양식(영문)
자유양식(영문)
기업이 보유한 양식 및 의뢰기관의 양식 따라 작성 후 문서 하단에 작성자 혹은 책임자의 직책/이름/자필서명을 남겨야 합니다.
제조공정도(Manufacturing Process Chart) : 기업의 자유양식 또는 HACCP제조공정도 활용 가능
영양성분표(Nutrition Facts) : 기업이 의뢰한 영양성분 시험기관의 영문성적서 활용 가능
원재료 및 함량표(Ingredient list) : 품목제조보고서의 원재료명 또는 성분명 및 배합비율 참고하여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