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국가별 통관절차

  • step1수입요건 준비

    유라시아경제연합 공인인증기관

    • TRCU (EAC) 인증획득 (TRCU, Technical Regulation of Customs Union)
    • 제출서류
      • 1. 신청서
      • 2. 수입자 사업자등록증 사본
      • 3. 제조사 위임장(한국 제조사가 유라시아 역내 신청자에게 TRCU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는 권한을 위임한다는 내용의 서류)

    TRCU인증 대상 식품

    • 모든 식품

    기준규격 + 위생기준 검토

    • 원재료 및 함량, 제조공정도, 성분분석표 준비
    • 식품첨가물 기준 검토(기준치 초과 여부 확인)
  • step2FTA협정적용 검토

    FTA협정 미체결

  • step3라벨링 검토

    식품표시기준 충족

    • 필수표시사항, 영양성분표, 열량정보 등
    • 알레르기 등 주의문구 확인
  • step4입항 전 서류준비

    수입식품검사 제출서류

    • 제품설명서, 성분표, 영양성분표, 제조공정도, 라벨링 초안/샘플, 시험성적서, HACCP인증서, ISO9001 등 식품안전 인증서, 위생증명서, 검역증명서(육류 함유 시)

    *관련서류는 러시아어로 번역되어야 함(필요 시 공증)

    수입통관 제출서류

    • 인보이스, 패킹리스트, B/L, 일반원산지증명서
  • step5수입식품 검사

    러시아연방 소비자 권리 보호 및 복지 감독청(Federal Service for Surveillance on Consumer Rights Protection and Human Wellbeing)

    • 식품위생검사 : 동물성 원료, 식물성 원료 검역
      • 1. 서류검사
      • 2. 위생 및 안전검사
    • 위험도에 따라 추가검사 및 조사 진행
  • step6수입통관

    러시아 연방 세관 서비스 (Federal Customs Service of the Russian Federation)

    • 세관신고서
    • 상업송장, 포장명세서
  • step7물품 반출

    통관 수리 후 물품 반출

    • 내륙 운송
  • TRCU 021/2011 "식품 안전에 관하여" (On safety of food products):
    이 규정은 모든 식품에 대한 일반적인 안전 요구 사항을 다룹니다. 식품의 생산, 보관, 운송, 판매 및 폐기까지의 모든 과정에 적용됩니다. 이는 식수, 영양제, 식품 첨가물, 알코올, 건강 보조 식품, 효모 및 모든 원산지의 천연 및 가공 식품을 포함함

    TRCU인증 획득제품에는 EAC마크를 부착해야 함
    (EAEU회원국 :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키르키스스탄, 아르메니아)